신청기한 놓치면 10% 감액
근로장려금은 무엇인가요?
근로장려금은 실업급여와는 다르게 일을 하고 있지만 소득이 적은 가구에 지급하는 근로 연계형 소득지원 제도입니다. 근로소득, 사업소득 또는 종교인 소득에 따라 산정된 금액을 지급하는데 전문직 종사자가 있는 가구는 지원되지 않으니 참고하세요.
근로장려금 신청자격은?
총소득 요건
① 단독가구는 배우자, 부양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모두 없는 가구로 총급여액이 2,200만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② 홑벌이 가구는 배우자 또는 자녀 또는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가구로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는 신청인 또는 배우자의 총급여액이 3,200만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③ 맞벌이 가구는 신청인과 배우자의 총급여액이 3,800만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재산요건 (2023년 기준)
가구원이 소유하고 있는 재산의 총합계액이 2.4억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재산이 1억 7천만 원 이상일 경우에는 50% 차감하여 지급합니다.
※ 재산에는 부동산, 전세금, 자동차, 예금 등이 포함되고 대출금이 있더라도 차감되지 않습니다.
근로장려금 지급 가능액 (2023년 기준)
근로장려금은 가구원 구성에 따라 정한 부부합산 총 급여액 등을 기준으로 지급액을 산정합니다. 최대 지급액은 아래 표와 같이 정해져 있고 소득이 높을수록 받는 금액은 적어지는 구조입니다. 2023년 총소득기준금액은 그대로 유지되고, 지급액은 상향되었습니다.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 근로장려금 지급액 확인
구분 | 단독가구 | 홑벌이가구 | 맞벌이가구 |
총소득기준금액 | 2,200만 원 미만 | 3,200만 원 미만 | 3,800만 원 미만 |
최대지급액 | 165만 원 | 285만 원 | 330만 원 |
나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신청기간
근로장려금 신청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한을 놓쳐도 신청할 수 있으나 금액의 10%가 감액되니 꼭 기간 내에 받으시길 바랍니다.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신청방법
▶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세 가지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모바일 안내문을 받은 경우
① 카카오톡 또는 문자메시지에 첨부된 안내문에서 신청하기 버튼 누름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② 손택스 신청화면 연결
③ 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 입력하면 신청 완료!!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서면 안내문을 받은 경우
안내문을 참고하여 QR코드, 인터넷 홈택스, 손택스 어플, ARS의 방법 중에 편리한 방법을 선택하여 신청하면 됩니다.
안내문을 받지 않은 경우
① 인터넷 홈택스 접속 후 로그인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② 신청/제출 메뉴 또는 복지 이음 배너에서 근로·자녀장려금 클릭
③ 일반 신청하기 클릭 후 신청
근로장려금 신청자격에 대해 설명드렸는데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근로장려금이 여러분께 작지만 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다음에 더 좋은 소식 남겨드릴게요!! 아래 동영상도 참고하시면 근로장려금 신청자격에 대해 더 이해가 잘 되실 거예요.^^
정부 지원금 더 알아보기
실업급여 신청방법, 지급조건 알아보기
실업급여 신청하러가기 여러 가지 이유로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신 분들이 많이 계실 거예요. 갑자기 월급이 사라지니 막막할 수 있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업급
blog.honeybutter701.com
실업급여 구직활동 인정방법 총정리
오늘은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 꼭 필요한 구직활동 인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업급여는 단지 쉬는 동안 쓸 수 있는 돈을 지급해주는 것이 아니라 재취업을 위해 노력 중인 기간 동안
blog.honeybutter701.com
실업급여 모의계산법
실업급여를 신청하면 나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가 가장 궁금하실 겁니다. 오늘은 지난번에 알려드린 실업급여 신청방법에 대한 포스팅에 이어 실제로 구직급여를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알아
blog.honeybutter701.com
'경제,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 실업급여 신청자격, 방법 (0) | 2022.12.30 |
---|---|
노령연금 조기수령 조건,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2.12.28 |
2023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방법 및 더 받는 꿀팁 (0) | 2022.12.24 |
2023년 부모급여 등 육아지원금 총정리 (0) | 2022.12.19 |
2023 다자녀 혜택 총정리 (0) | 2022.12.15 |